작년 이맘때 읽었던 엔젤라 더크워스의 그릿..
당시 너무 좋아 친구들에게도 추천했던 책으로 노트에 필사한 것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.
'절대 포기하지 않는' 태도!!
대단히 성공한 사람들의 굳건한 결의를 보이는
2가지 특성이 있는데
첫 번째는 회복력이 강하고 근면했다는 점과 두 번째는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매우 깊이 이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.
이 2가지 특성은 그릿과 연관성이 있는것일까요??
재능 <노력(재능보다 두배 더 중요한 것은 노력!)
성취=재능 ×노력 2배
우리는 '완성된 탁월한 기량'을 보는 것을 더 좋아합니다.
일상성보다 신비함을 선호한다는 것이지요.
그 이유는 천재를 마법적인 존재로 생각한다면 우리 자신과 비교하고 우리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.
정말 그들은 우리와 다른 특별한 존재일까요?
.
.
.
아니다!
노력하면 우리도 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우리는 보통 시작한 일을 너무 빨리,
너무 자주 그만두는 듯합니다.
그것이 특별하다고 생각되는 그들과의 다른 점이겠죠.
어느 날 하루 기울이는 노력보다는 다음날, 그다음 날로 눈을 뜨면 러닝머신 위에 올라갈 각오가 되어있는 것이 중요합니다.
바로 지속력의 차이입니다!!!
열정의 지속성
자신이 사랑하는 일을 하고 그 사랑을 지속시켜 나가야만 합니다.
지속성은 생각해보면 특별한 것이 없는데요.. 그런데도 그 별것도 아닌 것이 참 힘들게도 쉽지 않습니다.
열정에도 끈기가 필요한데..
어떻게 하면 지속성을 높여갈 수 있을까요?
- 철학을 가져라 - 명확하게 서술된 철학은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지침과 범위를 제공한다.
- 최상위 목표에 변함없이 성실하게 꾸준하게 관심을 둔다
- 열정은 우선순위를 확실하게 만든다.
- 의지력과 인내심의 정도, 한번 결정한 사항을 조용히 밀고 나가는 결단력도 필요하다.
- 장애물 앞에서 과업을 포기하지 않는 성향, 끈기, 집요함, 완강함
이 모든 것들이 그릿을 성장시키는 요인들입니다.

그릿의 성장
플린 효과 - 지난 세기 동안 IQ가 깜짝할 만큼 증가한 현상입니다.
나이가 들수록 '성숙의 원리'로 그릿도 성장한다고 합니다.
생각해보니 어릴 땐 금방 싫증내고
조금만 지루해도 못 참았지만
성인이 되고 나이가 들면서 참을성도 커지고
내 일이든, 취미생활이든 꾸준하게 하고
그것을 지속하려고 노력하는 것 같습니다.
그렇다면 인생을 경험하고 성숙하면서 나의 성격도 지속성이 강해지는 방향으로 바뀌어가는 걸까요?
인생 경험이 성격을 변화한다고 책에도 나옵니다.
그 이유는...
-새로운 경험을 통해 몰랐던 내용을 배우기 때문입니다.
'타고난 재능이 없는 일도 거듭하다 보면 제2의 천성처럼 된다'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.
즉,
우리는 필요할 때 변화한다.
필요는 적응의 어머니다.
점점 증가하는 상황의 요구에 맞춰 적응해간다.
새로운 사고방식, 행동이 습관이 된다.
스스로 규정하는 정체성으로 발전!
이 부분을 읽으면서 정말 공감했는데요..
저 또한 살면서 상황에 맞춰 스스로 변화하고 성장하게 됨을 느꼈고
현재까지 그 변화와 성장에 만족하며 일도 지속하고 있음에 감사하고 있습니다.
★★ 그릿을 기르는 4가지 방법 ★★
1. 관심 : 내 일을 사랑하고 진정으로 즐기는데에서 시작한다.
2. 연습 : 그릿은 현실에 안주하기를 거부한다.
3. 목적 : 내 일은 나에게도, 타인에게도 중요하다. 목적의식을 뚜렷하게 하고 타인을 위한 봉사정신이 필요하다.
4. 희망 : 희망을 유지해라.
그릿 필사한 부분이 길어
그릿 두 번째 이야기에서는 나와 같은 부모로서 우리 아이들에게 그릿을 성장시킬 수 있는
부모의 역할에 대해 글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오늘도 귀한 나의 하루를 위해
알차고 힘차게 보내시길 바랍니다.
'책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벤자민 플랭클린의 자서전을 읽고.. (19) | 2020.12.27 |
---|---|
그릿2 - 열정적 끈기를 만들어주는 부모의 역할 (15) | 2020.12.24 |
이토록 공부가 재미있어지는 순간(박성혁) (18) | 2020.12.16 |
마법천자문 완권은 언제나올까요? (12) | 2020.12.15 |
공부에 미친 사람들(김병완) (10) | 2020.12.12 |